戊肝有哪些典型症狀
一、潛伏期1955對戊肝的潛伏期究竟有多長,目前認識尚不統一,18~62天,平均4年德里流行的潛伏期为19830天,36年觀察志願受試者的潛伏期是1986天,10~49天,平均15年Azamgsn,Kashmir和中国新疆調查為3次同源戊肝流行,潛伏期为15~75天,平均36天,這與各地的流行病學特點不完全雷同,統計條件不一致,病毒感染的数量以及病毒株的某些差異均有关,綜合中國外報告,一致的认识是戊肝潛伏期比甲肝略長,比乙肝又短,一般為2~9週,平均為6週。
二、臨床表現
目前被公認的臨床型有急性肝炎,重型肝炎及淤膽型肝炎,對慢性肝炎尚有爭議。
1、急性戊肝:
佔戊肝的86.5%~90.0%,包括急性黃疸型和急性無黃疸型兩種,二者之比約為1∶5~10。
(1)急性黃疸型:佔急性戊肝的75%,臨床表現與甲肝相似,但其黃疸期更長,症狀更重,A.黃疸前期:主要表現為急性起病,起病時可有畏寒,發熱,頭痛,咽痛,鼻塞等上呼吸道感染症狀(出現率約20%),關節痛(7%~8%),倦怠乏力(60%~70%),之後出現食慾不振(75%~85%),嘔心(60%~80%),嘔吐,上腹不適,肝區痛,腹張,腹瀉等消化道症狀,部分患者呈現輕度肝大,伴觸痛和叩擊痛,此期持續數天至半月,在本期末尿色漸深,如化驗已可表現出尿膽紅素和尿膽元陽性,血膽紅素(Bil)及膽丙鎂(ALT)上升,B.黃疸期:體溫復常,黃疸迅速加深,尿深如濃茶,大便是淺色,皮膚瘙癢(29%),消化道症狀重,持續至黃疸不再上升方可逐漸緩解,此期一般為2~4週,個別病例可持續8週,各項肝功能化驗在此階段也升至高峯,以後漸緩解,C.恢復期:症狀,體徵及化驗全面好轉,各種症狀減輕至消失平均約15天,肝臟回縮及肝功能復常平均約27天,此期一般為2~3週,少數達4週。
(2)急性無黃疸型:臨床也有急性期與恢復期兩個階段,但表現比黃疸型輕,部分患者無臨床症狀,呈現亞臨床型,亞臨床型感染多,而成人則多表現為臨床型感染。
2、重型戊肝:
約占戊肝的5%,較甲肝重型多見,通過對近十年来世界各地多次戊肝流行的調查,一致公認戊肝的重型女性比男性多(2∶1~5∶1);孕妇多,重型肝炎中孕妇占60%~70%,其次为老年和病毒重叠感染者多,尤以乙肝患者再感染HEV时易发生重型肝炎,在重型戊肝中急性重型多,其与亚急性重型之比约为17∶1,二者区别不能仅仅以时间来划分,根据新疆戊肝流行时的多数临床报道资料综合,还应参考如下特点。
(1)急性重型戊肝:孕妇多见(57%~60%),尤其是妊娠晚期更多(约占70%);病情发展迅猛,多数孕妇在正常产或早产后病情急剧变化;血胆红素还在轻度或中度升高时,即可出现一系列重型肝炎的临床表现,且无酶胆分离现象;肝浊音界缩小与正常者各占一半;全部病例皆有肝性脑病,昏迷病例皆有脑水肿,Ⅲ度以上昏迷者成活率极低;出血程序与黄疸深度呈正相关,个别病例出现弥漫性血管内凝血(DIC);预后与昏迷深度,出血程度,妊娠早晚及脏器衰竭频数呈正相关,与黄疸深度无明显关系,成活者病程虽较长,但未见肝炎后肝硬化之表现。
(2)亚急性重型肝炎:除了孕妇外,还见于老年和其他病毒感染者,尤其是HBV;病情发展较急性重型相对缓慢;黄疸较急性重型肝炎深,持续时间也长,酶胆分离现象较多见;多数患者肝浊音界不缩小,个别病例可见肝脾轻度肿大,后者多出现在乙肝患者又感染了HEV的情况下;几乎全部病例皆可出现腹水,下肢水肿和低蛋白血症,少有出现肝性脑病;病程较长,病程中可出现多种并发症;病死率与脏器衰竭的数目密切相关,脏器衰竭的频数依次为肝,凝血系统,中枢神经系统,肾脏。
3황달형戊肝::
신장 자료에 따르면 드문 질환으로, 전체의 0.0%에 불과합니다.1%도 있으며, 황달형戊肝는 매우 일반적이며, 발생률은 甲肝보다 약7.5%의 환자가 황달 기간이 길지만 예후가 좋습니다.
4만성戊肝:
戊肝가 만성화 과정이 있는지 그리고 만성 바이러스保有자가 있는지에 대한 인식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일본에서는 대유행 기간에58.2%의 사례가 만성 간염으로 발전했습니다500 명의 급성戊肝 환자가3~28개월 동안의 추적 조사에서 발견되었습니다12% 환자의 증상, 신호, 간 기능 검사 및 생체 조직病理학 검사는 모두 정상으로 복귀하지 않았으며, 만성 지속성 간염의 변화와 일치하지만, 신장 동부에서 두 번째戊肝 대유행 시의 사례를 한 해 동안 체계적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 만성화된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고, 중국의 장휘, 인도의 Khroo 등의 관찰 결과도 급성戊肝이 만성화된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결과의 불일치는 바이러스 종류, 인구의 면역 수준, 연령 및 다른 사회적 요인과 관련이 있을까요? 모두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5戊肝의 다른 생리적 단계에서 발생하는 임상 특징:
(1)임신기戊형간염: 발생률이 높고 중증 간염으로 진행하기 쉬우며1986~1988년 신장戊형간염 대유행 당시, 임신자 발병 비율은24%, 중증 간염에서 임신자 비율은27%, 비임신자는4.6%, 사망률도 높으며, 많은 국가에서 보고되었습니다10%~20%, 가장 높은 비율은39%가 가장 높은 임신 후기 사망률을 가집니다(20.96%), 중기에 다음으로 많습니다(8.46%), 초기(1.5%)과 일반 임신 가능 여성(1.4%)과 유사하며, 질병 발병이 빠르며,黄疸이 중증 간염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간성脑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이 축소된 경우 절반으로, 간 조직病理학 검사는 간세포가 변성 팽창을 주를 이룹니다. 대출혈 후 간 조직은 동시에 산소 부족과 산소 결핍 변화를 보여줍니다. 임신 중에 임신 유산, 조산, 사산 및产后 감염이 쉽게 발생하며,产后 질병이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사망 원인은 뇌수종,产后 출혈, 간신증候군, 상消化道 출혈 및 뇌하혈증입니다. 중증 간염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I, V, VII 요인이 감소하며, 대부분의 사례에서 혈소판과 피브리노겐은 정상적이며, DIC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2)아동戊형간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병률이 점차 높아지며, 신생아 발병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1~3세 환자가 발병률의22.2%7~14세77.8%로, 성인과 비교했을 때 어린이 발생률은 낮으며, 신장에서는 보고되었습니다3160례, 환자 중 어린이 비율은9.11%)으로, 사망률은 0.52%)으로, 성인보다 낮습니다. 발병이 급하며, 증상이 가볍고, 발병 초기에 호흡기 증상이 많은 환자가 많습니다(6.7%~20.3%)보다 높습니다, 비대한 비율이(19.8%)은 성인(0.22%),하지만黄疸형 사례가 대부분입니다(98.2%),하지만 성인의黄疸 상승幅度보다 작고 지속 기간이 길며, 간 기능 변화는 ALT 상승이 주를 이룹니다.
(3)고령戊형간염: 발병률은 전체 발병률의3%~10.9%로, 성인보다 낮지만 어린이보다 높습니다. 발병이 은밀하며, 임상적으로黄疸형이 주를 이룹니다. 부종형 간염이 차지하는 비율이 많으며,黄疸이 깊고 지속 기간이 길고, 질병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며, 회복이 느리며, 성인 그룹보다 입원 기간이 약간 더 길습니다1배, 중증 간염은 상대적으로 많고, 성인 그룹보다 높지만 임신부 그룹보다 낮으며, 합병증이 많고 감염이 쉽고, 예후가 좋고, 사망률이 낮으며, 만성화되지 않은 보고서는 없습니다.